티스토리 뷰
신토피콘(syntopicon)은 ‘위대한 저서’를 다 른 고전 전집, 권장도서목록 등과 구별 짓는 고 유한 특징이다. ‘위대한 저서’는 단순히 명저 혹 은 좋은 책을 모아 편찬한 전집, 선집이 아니라 독특한 형식의 독서방법, 탐구, 토론 등을 도와 주는 ‘신토피콘’이라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. 1952년에 발행된 ‘위대한 저서’ 초판의 경우 에, ‘신토피콘’은 제2권과 제3권에 수록되어 있 다.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권에는 허친스의 ‘위대한 대화’라는 에세이 성격의 논평이 수록되 어 있다. 1990년에 발행한 제2판의 경우에는 제1 권과 제2권에 ‘신토피콘’을 수록하고, 초판의 제 1권에 있던 ‘위대한 대화’는 별책부록으로 별도 발행하고 있다. ‘신토피콘’은 제3권부터 제60권에 수록된 저작 원문을 동물(animal), 미(beauty), 존재(being), 행복(happiness), 물질(matter) 등 102개의 ‘아 이디어’라는 개념으로 조직화하고 있다. 102개의 아이디어는 위대한 저작과 상호작용할 수 있 는 핵심 주제 혹은 쟁점, 이슈라는 의미로 ‘위대 한 아이디어’라 명명하고 있다. ‘아이디어’는 개 개 하위 개념이나 주제를 포괄하는 최상위 개념 어라는 의미로 토픽의 집합체이다(Encyclopaedia Britannica 1990, xiii).
허친스와 애들러 등 ‘위대한 저서’ 편집위원 회에서 최초로 추출한 ‘위대한 아이디어’는 700 개 이상이었다. 그 후 편집위원회에서는 오랜 논쟁 끝에 개념상의 중복이나 상위 개념어로 대 체할 수 있는 용어를 제외시켜 115개로 압축하 였고, 최종적으로 13개를 탈락시켜 102로 확정 지었다(Adler 1952, 1223-1224).
아이디어는 ‘위대한 저서’에 포함된 저작에서 다루고 있는 전체 주제 혹은 개념을 102개로 압 축한 것이며, 이는 인류가 갖고 있는 모든 관념 을 계층적으로 구조화하는 존재의 대사슬(Great Chain of Being)의 영향을 받았다. 존재의 대사 슬은 만물의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무생물에서 최고의 위치에 있는 신에 이르기까지 계층적으 로 조직되어 있고 천사, 인간, 동물, 식물 등의 모든 존재들이 한 고리로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. 이러한 ‘존재의 대사슬’에 관한 이론은 르네상 스 시대에 널리 성행하였으나 19세기에 이르러 자취를 감추었다. 그 후, 러브조이(Lovejoy 1936) 가 뺷존재의 대사슬: 관념에 대한 역사적 연구 (The Great Chain of Being: A Study of the History of an Idea)를 발표하면서 지식 체계 의 새로운 인식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(한국 브리태니커온라인 2012). 애들러가 아이디어를 단위로 신토피콘을 구성한 것은 애들러가 철학 자로서 관념을 단위로 통사론적(統辭論的)으 로 사물을 이해하려는 러브조이의 연구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. 존재의 대사슬에 관한 이론 은 지식의 체계를 세우고, 조직화에 관심을 갖 고 있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연구해 볼만한 가 치가 있다고 본다.
102개의 ‘위대한 아이디어’는 102개의 장(章) 으로 구성되어 있다. 1952년 초판의 경우에는 2-3권에, 1990년 제2판의 경우에는 1-2권에 수 록되어 있다. 초판의 경우, 제1권에는 ‘Angel’부 터 ‘love’까지, 제2권에는 ‘Man’부터 ‘world’까 지 수록되어 있고, 제2권의 ‘world’ 장(章) 다음에는 3개의 부록 즉, ‘추가독서자료 전체 목록’ 과 ‘신토피콘의 구성 원리와 방법’, 그리고 용어 목록(inventory of term)이 수록되어 있다. 102 개의 ‘위대한 아이디어’를 단위로 각 장(章)을 구성하고 있으며, 각 장의 요소는 개요(introduction), 토픽 구조(outline of topic), 참조(reference), 상호참조(cross-references), 추가 독서 자료(additional readings) 목록 등 5개 부문으 로 편성되어 있다.
<그림 2>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토피콘은 102개의 아이디어에 대한 일련번호로 시작하며, 6 번째 아이디어 ‘미(beauty)’에 대한 장임을 나 타내고 있다. 아이디어의 명칭 다음에는 아이디 어에 대한 개요, 아이디어에 포함된 세부 토픽 을 나타내는 토픽구조, ‘위대한 저서’의 각 전집 중 해당 토픽에 대해 다루고 있는 원문 텍스트 로 안내하는 참조, 다른 아이디어 및 토픽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호참조, 아이디어에 대해 더 알고자 할 경우 추가적으로 읽기 위한 추가 독 서자료 목록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.
이병기. (2012). ‘위대한 저서’의 토픽색인, 신토피콘의 구조와 효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. 한국문헌정보학회지, 46(2), 5-28.
'위대한 저서: 인류역사 3000년의 지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‘위대한 저서’ 에 포함된 책은 무슨 기준으로 (0) | 2023.05.24 |
---|---|
‘위대한 저서’의 체제와 발행 배경 (0) | 2023.05.24 |
위대한 저서(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)에 대하여 (0) | 2023.05.24 |